티스토리 뷰
역사저널그날쿠빌라이칸원종항복조건 쿠빌라이고려 원나라황제쿠빌라이원종 고려고종다음왕원종쿠빌라이 고려24대왕원종불개토풍 고려임연 고려안경공추대사건
네쥬s 2016. 9. 11. 15:191259년 태자였던 원종은 몽골과 강화를 맺기 위해 몽골로 향하지만 몽골의 칸을 만나기도 전에 칸의 사망 소식을 듣게 되고, 목적지를 잃은 원종은 방향을 돌립니다. 그러다 '양초지교(梁楚之郊)'에서 칸의 동생 쿠빌라이를 만나게 되는데...
쿠빌라이는 원종을 크게 반기며 기뻐하고, 훗날 원나라의 초대 황제가 된 쿠빌라이와의 만남은 고려의 운명을 바꾼 역사적 만남이었습니다. 이후 쿠빌라이와 동행하던 원종에게 고종의 승하 소식이 전해지고, 귀국하는 원종을 위해서 쿠빌라이는 자신의 신하들에게 호위를 맡깁니다.
게다가 귀국하던 원종이 서경에서 8,9일 지체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원종의 귀국을 방해하는 세력이 있다고 판단해 조서를 보내 원종에 대한 지지 의사를 명백히 밝혔습니다. 원종에게 특별한 호의를 보인 쿠빌라이는 왜 그랬을까요?
쿠빌라이와 원종의 만남
쿠빌라이에게 요구한 6가지 강화 조건, 고려의 운명을 바꾸다!
쿠빌라이의 지지를 받으며 고려 제24대 왕으로 즉위한 원종은 이후 칸으로 선출된 쿠빌라이에게 신하가 되겠다는 뜻을 밝히고, 쿠빌라이는 원종을 고려 국왕으로 정식 책봉했습니다.
몽골이 정복한 국가와 사대 관계를 맺은 건 매우 이례적인 일이며, 게다가 쿠빌라이는 원종이 강화를 위해서 제시한 6가지 요구마저 들어주었습니다. 특히 '의관은 본국의 풍속을 따르며 고치지 않는다'는 '불개토풍(不改土風)' 조건은 이후에도 고려의 전통과 왕조 체제를 유지하는 데 결정적 명분이 되는데... 패전국임에도 당당한 모습을 보인 고려는 몽골에게 멸망당한 수많은 국가들과 달리 나라의 명맥을 이어갔습니다.
원종은 몽골과의 강화를 주도했으며, 고려와 몽골의 관계가 가까워질수록 왕권은 강해지고, 무신 정권은 힘을 잃었습니다. 결국 무신 권력자 임연은 1269년, 원종을 폐위시키고 원종의 동생 안경공 창을 왕으로 옹립하는데, 때마침 몽골에 입조해있던 원종의 아들인 태자 심, 그는 귀국길에 원종 폐위 사실을 듣고 몽골로 돌아가 쿠빌라이에게 도움을 청하는데...
쿠빌라이는 원종과 안경공 창, 임연의 입조를 요구하며 만약 기한내 오지 않을 시 군대를 진격시켜 완전히 소탕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습니다. 쿠빌라이의 힘을 빌려 복위하는 데 성공한 원종은 쿠빌라이를 찾아가 군대를 요청하고, 몽골군의 힘을 빌려 무신 정권을 완전히 몰아내게 되었습니다. 100년 무신 정권이 막을 내린 것입니다.